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9)
서양음악 통론 4강 - 음표,쉼표 보는법!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서양음악 통론 3강 - 음정이란? Pt.2 안녕하세요 여러분, 키다리 아저씨에요. 오늘은 음정에 대한 이론 2편입니다! 강의 포스팅에 앞서, 앞시간에서 내줬던 숙제는 완료 하셨나요?! 아직 온음과 반음 구별이 안되시거나, 완전음정과 장음정이 몇도로 이루어져 있는지 감이 안오시는 분들은 앞의 포스팅을 읽어보고 다시 와주세요! 위의 것이 이해가 안되면 앞으로 진도나가기가 힘들어져요! 자 그럼, 시작해볼까요?' 음정 파트2, 첫번째로는 저번시간의 그 표를 다시 꺼내보도록 할게요. 완전음정은 1,4,5,8도로. 장음정은 2,3,6,7도로 이루어져있다고 했었죠? 그렇다면 그 옆의 증, 겹증, 단, 감, 겹감은 어떤 것일까요? 이미 눈치 채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완전과 장음정에서 반음차이로 올라가느냐 떨어지느냐에 따라 그 이름이 달라진답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서양음악 통론 2강-음정이란? 안녕하세요 여러분, 키다리 아저씨에요. 오늘은 서양음악 통론 2강, 음정에 관해서 알아볼거에요. 음정이란 음과 음 사이의 거리를 뜻하는 말이에요. 단순히 악기상의 도레미파솔라시도, 혹은 악보상의 음표로 도레미파솔라시도를 봐왔는데, 그 음 하나하나 사이에 거리가 있대요! 무슨 말일까요?? 자, 우선 도레미파솔라시도에 각각 숫자를 붙여보도록 할거에요. 도는 1, 레는 2, 미는 3 순서로 올라가면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1 2 3 4 5 6 7 1 이렇게 되겠죠?? 도와 레의 거리가 1만큼 차이난다 하면 이해하기 힘들겠지만 숫자 1과 2의 차이가 1이라면 이해 하기가 더 편하실거라 믿어요! 이 숫자 뒤에 도를 붙여서 1도,2도,3도 등등으로 부르게 됩니다. 여기서 온음과 반음을 짚고 넘어가야 하는데요,..
서양음악통론 1강 - 음악의 3요소 안녕하세요 여러분, 키다리아저씨에요. 이제 이론강의를 진행 할텐데, 음악을 하기 위한 최소한의 소양을 갖추기 위한 과정중의 하나라고 생각하시고, 어디가서 못배운 음악 한다는 소리 안듣게끔.. 더 멋진 음악을 할 수 있게끔.. 열심히 따라와 주셨으면 좋겠어요. 제가! 도와드릴게요. 음악이론 첫번째 포스팅, 서양음악 통론 시작하겠습니다. 음악의 3요소라는 것은 음악을 이루고 있는 세가지를 말하는데요. 이 세가지는 멜로디, 하모니, 리듬.(선율, 화성, 박자)이에요. 첫 번째로 멜로디라는 것은 노래로 치면 보컬이 맡고있는, 음악에서 주인공이 되는 친구에요. 모든 사람들이 듣는 음악에서 제일 먼저 귀에 들리는 바로 그것이 멜로디라고 할 수 있죠. 뒤에 깔리는 스트링의 진행이나 코러스들의 진행 등에도 멜로디가 같..
음악이론 게시판 필독! 안녕하세요 여러분, 키다리아저씨에요 오늘부터 음악이론과 큐베이스 사용법, 그리고 작곡에 관한 컨텐츠들을 업로드 할 예정이에요. 그래서 음악이론 게시판을 따로 개설했구요. 순서는 서양음악통론 - 화성학 - 대위법 이렇게 세가지 강의포스팅을 할텐데, 입문자, 초보자 분들은 정말 정말 적어도! 서양음악통론은 꼭 정주행 해주셨으면 좋겠어요. 조금 지루해 질 수 있는 부분이지만 이정도는 알아야 뭐라도 시작 할 수가 있어요ㅠㅠ 어렵지 않아요 초,중,고등학교때 배웠던 음악이론들보다 아주 조금 더 배운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음악 이론, 필수인가? 안녕하세요 여러분, 키다리아저씨에요 오늘은 음악 이론, 필수인가? 라는 주제를 가지고 왔어요. 이 주제는 갑론을박이 많이 펼쳐지는 주제라서 굉장히 민감 할 수 있는 부분인데요, 제 주관적 생각이 많이 들어가 있는 포스팅이니 참고정도만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음악 이론, 과연 필수일까요? 저는 필수라고 생각하는 사람중에 하나에요. 어째서일까요? 우선적으로 음악이론의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크게 나열해보자면 서양음악 통론 화성학 대위법 악식론 악기론 음악사 등등이 있어요(전부 다 공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보통 음악 이론이라 하면 화성학을 제일 먼저 떠올리실텐데요, 실용음악 입시의 경우에, 화성학 공부를 어느 정도는 하고 시험을 보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입시를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
작곡 입문장비, 어떤 것이 필요한가? 안녕하세요 여러분, 키다리아저씨에요. 오늘은 세번째 포스팅, 작곡 입문장비, 어떤 것이 필요한가? 라는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해 볼거에요. 어떤 취미, 전공을 불문하고 입문자들의 최대 관심사는 역시 장비가 아닐까 하네요 ㅎㅎ 사실 학생들도 공부보다는 학용품에 더 관심이 많은 경우도.... 거두절미하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볼게요! 우선은 최소한의 홈레코딩, 시퀀싱을 위한 장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야겠죠? 사람마다 장비의 편차나 수준이 제각각 다르지만 제가 생각하기에 꼭 필요한 것들이 있어요. 1.컴퓨터 당연하다면 당연한 이야기, 컴퓨터(또는 노트북)가 있겠죠? 혹자는 오선지에 악보를 그리던 시대는 이제 갔다고 말하기도 하는데요. 그만큼 미디의 발전으로 인해 시퀀싱이 음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
음악입문, 독학 vs 레슨 어떤것이 더 좋은가? 안녕하세요 여러분, 키다리아저씨에요. 오늘은 두번째 포스팅, 음악입문, 독학 vs 레슨 어떤것이 더 좋은가? 라는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어떻게 보면 굉장히 민감한 주제이니 만큼, 제 주관적인 생각이 많이 들어간 글이란 점 유념하시고 참고정도만 해주시길 바래요. 본론으로 들어가서! 음악입문, 독학 vs 레슨 어떤것이 더 좋은가.. 이전 포스팅에서 제가 음악 입문하시는 분들은 다른 것들이 고민되더라도 일단 음악부터 미친듯이 들으라 했었죠? 열정 충전의 단계를 거쳐야만 후에 초심을 그리며 연습도 꾸준히 지속 할 수 있게 된다는 뜻이었는데요. 이 단계를 넘어서 진짜 이제는 뭐라도 시작해야겠다 하는 분들은 꼭 이 글을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결론부터 이야기 해보자면, 저는 레슨을 먼저 받는것을 권..